『미스터 메르세데스』는 범인이 보낸 편지 한 통을 단서로, 촘촘한 묘사와 추론으로 고전 추리소설의 형식을 따라 사건을 풀어나가는 듯 보인다. 특히 레이먼드 챈들러의 ‘필립 말로’를 직접적으로 언급하며 하드보일드 추리소설의 형식을 계승한 듯 보이지만, 실상 스티븐 킹은 자기만의 추리소설을 선보이고 있다. 특히 범인을 초반부에 공개함은 물론 범인의 암울한 가정사와 복잡한 심리를 들여다봄으로써 탐정과의 심리 게임에 더 집중하게 만드는 부분은 스티븐 킹의 전매특허라 볼 수 있다. 또한 온라인을 활용한 심리전과 추리 역시 SNS를 즐겨쓰고 전자책을 가장 앞장서서 선도했던 스티븐 킹 다운 발상이라 평가 받는다. 무엇보다 중반 이후 전통적인 금발 미녀 대신 우울증을 앓고 있는 신경질적인 중년 여성 ‘홀리’와 똑똑한 흑인 소년 ‘제롬’이 사건에 개입되면서 매우 독특한 추리소설 전개를 선보이는데, 사건 해결의 결정적인 역할을 주인공인 탐정이 하는 게 아니라 주변 인물인 홀리와 제롬이 한다. 이는 탐정을 사건 해결의 중심에 두었던 과거 추리소설과 큰 차이를 보인다. 이에 대해 《뉴욕타임스》는 북리뷰를 통해 ‘묻지마 테러와 같은 강력한 현대 범죄에 맞설 수 있는 힘은 탐정 혼자가 아니라 선의를 가진 모든 이의 역할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잘 녹아든 스티븐 킹식 추리소설이라 평가했다.
“소설의 결말에서 등장인물들이 처음보다 더 끔찍한 폭력과 속절없이 마주하게 될 때, 스티븐 킹은 ‘반백의 머리에 신경질적인 십대 소녀의 얼굴을 가진’ 여인을 통해, 그리고 호지스와 제롬, 홀리로 이루어진 유사 가족을 통해 자기 식의 ‘구원이라는 미덕’을 드러낸다. 그리하여 한 사람의 힘만으로는 모든 무분별한 폭력과 무참한 재난으로부터 우리를 지킬 수 없음을 넌지시 보여 주는 것이다.” – 《뉴욕타임스》 북리뷰 중
밑줄긋기
“형사처럼 생각해 본 지도 어느 정도 지났고 이런 식의 수사카메라도 현미경도 특수 화학물질도 필요 없는 특이한 법의학 수사를 진행한 것은 더 오래 전 이야기지만 일단 달려들자 금세 몸이 풀린다. 그는 각 항목의 제목부터 하나씩 적기 시작한다. 문장 하나짜리 문단. 대문자로 적은 구절. 따옴표를 쓴 구절. 멋을 부린 구절.특이한 단어. 느낌표.”
“불확실한 추론이지만 화려한 수사와 멋 부린 문구가 증거다. ‘먼저 축하부터 하는 게 도리겠지.’ 이런 문구가 있다. ‘그야말로 수백 건의 사건.’ 이런 문구도 있다. ‘그리고 뇌리에 내가 떠오르던가?’ 이 문구는 두 번 쓰였다. 호지스는 고등학생 때는 영어수업에서 줄기차게 A를, 대학생 때는 B를 받았기에 그런 것을 뭐라고 부르는지 기억한다. 점증 반복이라고 한다.”
“게다가 그는 교활한 녀석이다. 이 편지는 가짜 지문들로 가득하다. 납으로 된 신발이나 우려의 말씀처럼 대문자로 쓴 문구, 따옴표를 단 문구, 남발된 느낌표, 간결하면서도 효과적인 한 문장짜리 문단들이 다 가짜 지문이다. 만약 작문 샘플을 써야 하는 상황이었다면 미스터 메르세데스는 이런 식의 기교를 전혀 부리지 않았을 것이다.”
언론사 서평
“팽팽한 긴장감이 넘친다.” – 「뉴욕타임스」
“막판까지 숨 막히는 질주가 계속된다. 마지막 80쪽은 나눠서 찔끔찔끔 읽을 수가 없다. 단숨에 꿀꺽 삼켜야 한다. – 「사라토사 헤럴드 트리뷴」
“음울하기는 해도 사랑과 상실과 어쩌면 구원의 여운을 풍기는 미스터리.” – 「클리블랜드 플레인 딜러」
“속도감 넘치는 탐정소설.” – 「에스콰이어」
“킹은 평범한 인간의 탈을 쓴 브래디라는 진정한 괴물을 소개함으로써 ‘악의 평범성’이라는 구절에 새로운 의미를 부여한다.” – 「퍼블리셔스 위클리」
“기막히게 신선하다.” – 「북리스트」
“예측을 불허하는, 흥미진진하고 기분 좋게 음울한 작품.” – 「커커스 리뷰」
“킹이 하드보일드 미스터리의 새 장을 열었다.” – 「USA 투데이」
“킹의 진가를 보여주는 선과 악의 한판 승부.” – 「로스앤젤레스 타임스」
“모든 문제가 해결된 것처럼 느껴지는 마지막 순간, 소름이 돋는 반전이 여러분을 기다린다.” – 「탬퍼 베이 타임스」
“예민하고 연민을 느낄 줄 아는 하츠필드는 「사이코」의 노먼 베이스와 닮은 점이 많다…… 그보다 한참 더 끔찍한 인물이기는 하지만. 스티븐 킹이 창조한 최고의 악당 명단에 하츠필드를 추가해야 한다.” – 「보스턴 헤럴드」
“뜻밖의 순간에 시기적절하게 조성되는 긴장감.” – 「연합뉴스」
“마음만 먹으면 장르소설도 뚝딱 써버리는 킹의 능력은 전혀 녹슬지 않았다. 그의 무한한 상상력을 실감할 수 있는 황홀한 작품이다.” – 「북페이지」
“섬뜩하고 오래도록 기억에 남을 작품.” – 「세미테리 댄스」